(기고) 윤종섭 문화원장, “왜, 의림지(義林池)라고 한 걸까?”… “자연성의 임지(林池)에 인공성의 의(義)가 결합”

Ⅰ. 의림지 명칭 유래에 대한 문헌상 기록(발췌) (상략) 2011. 4.1 발행된 「제천군지 영인본」 (1969년 제천군지) 518쪽에 의하면 의림지는 원래 林池(小池,

상세보기

(기고) 제천소방서 김진석 예방안전과장, “청렴이란 소신대로 살아가는 것”

산속 계곡의 물소리는 청아하고 속이 환이 들여다보이고 맑게 흐른다. 하지만 폭우가 내리면 토사가 물에 섞여 흙탕물이 되어 눈으로 물속을 들여다볼 수 없게 만들어 버리지만, 비가 그치고 시간이 지나면 계곡물은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다시 맑아진다.   사람도 처음 세상에 태어날 때는 탐욕, 부정, 기만 등이 없이 순수함 그 자체로 태어난다. 이 순수함은 성장하면서, 학교를 다니면서, 직장을 가지면서 변해간다. 이것을 보통 사회화라고 한다. 하지만 듣기 좋은 말로 사회화이지 “우리는 세상에 찌든다”

상세보기

(기고) 서정일 제천소방서장, “화재예방과 차단을 위해 주택용 소방시설을 선물하자”

‘주택용 소방시설’이란, ‘주택용 화재경보기’와 ‘소화기’를 말한다.   주택용 화재경보기는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나 열을 감지한 후 경보음을 울려 화재를 초기에

상세보기

(기고) 세명대학교 백민석 교수, 충청북도 자치연수원 이전 지역균형발전 모델삼아야

국가균형발전이란 지역 간 발전의 기회균등을 촉진하고 지역의 발전역량을 증진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도모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균형발전도 이와

상세보기

최복희의 ‘비 오는 날의 상념’

비 오는 날의 상념 / 최복희   젖은 호숫가에 차곡차곡 쌓여 앉는 이슬비에 튕겨 저 올라오는 무성한 잡초가 장마를 실감 나게 하는 일요일, 박달재가 있는 시랑산 계곡 한 귀퉁이를 찾아 검푸르게 익어가는 여름을 확인하러 갔다. 돌이끼 융단처럼 빛나는 계곡을 접어들자 날개

상세보기

최복희 ‘개다래꽃’

최복희 ‘개다래꽃’ 꽃이다! 차창밖 저 멀리 시야에 가득 들어오는 하얀 꽃무리 꽃인가 하여 자세히 보니 나뭇잎이다. 어느새 개다래 꽃이? 운전하는 내내 불쑥불쑥 들이미는 잎새들의 춤사위를 보며 잠시 개다래에 취해본다 먼 산 숲이 연록의 색에서 진초록으로 색을 바꿔 입는 유월 중순을 넘어서면 숲 한자리가 느닷없이 흰색의 꽃으로 흐드러지게 피어난다. 거기에다 솔바람이라도 불라치면 개다래 하얀꽃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