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제천시 도시재생 “지역의 위기를 기회와 강점으로 바꾸다”

제천시가 올해를 제2기 도시재생 원년으로 삼고 본격적인 제천 도시재생 축만들기에 나섰다.

70~80년대 호황기를 지나 90년대부터 쇠퇴와 축소를 반복해왔다급기야 도시는 활력을 잃었고 이제는 지방소멸과 인구감소를 두려워하는 지경에 이르렀다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0세부터 39세까지 제천시 인구는 2011년 63,144가장 최근인 2022년엔 44,963명이다. 12년 새 1만 8천여 명의 청년이 도시를 떠난 것이다. 40-69세 중년층이 소폭 감소하고 70~100세 이상 노인층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과 대조되는 행보다우려했던 초고령화 사회가 시작됐다. “지금까지 무엇이 문제였고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까?”는 제천시가 지닌 시대적 화두가 됐다.

여기에 대한 해법으로 시는도시재생카드를 꺼내 들었다도시재생 사업을 통해 거점이 될 인프라를 만들고청년들과 주민은 이를 활용해 지역의 활력을 되찾고 커뮤니티는 부활한다는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그리고 그 중심엔 역세권 및 서부동 도시재생 사업이 있다.

이 사업들은 오롯이 청년에 초점을 맞춰 진행 중이다. 24년 준공예정인 역세권 재생사업은 임대주택창업교육 공간상생상가 등이 들어차 꿈꾸는 모든 청년의 비상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마찬가지로 서부시장 일원도 고립무원에서 탈피해 청년을 위한 도심 중심지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처음 시가 도시재생 가능성을 엿본 것은 2016년 선정된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에서다공모를 따내 달빛정원도심형 수로 등을 조성하면서 전국 각지에서 벤치마킹이 이어졌고우수사례로 꼽혔다드디어 지역변화를 위한 가능성의 씨앗을 심게 된 것이다.

시 도시재생전략 담당 주무관은 사업초기 시행착오도 많았고연계성이 부족하단 한계도 있었지만 이 원도심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하며 제천시 도시재생의 전반적인 전략을 그려낼 수 있었다고 회상한다.

그러면서 지자체 정책의 일관성을 추구하고 인구소멸에 대한 위기를 극복하자는 측면에서 핵심타깃을청년으로 내세웠다지역 내 청년들이 활동하고외부에는 관광객들이 넘나드는 도시재생 축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절실했다며 이 후로 진행한 어번케어역세권서부동 재생사업은 그런 방향성을 명확히 담을 수 있었다즉 주민들이청년들이나아가 외부 관광객이 찾아오고 싶어지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이를 엮어 도심 곳곳을 이어주는 축을 만든다면마치 혈관처럼 도시 곳곳에 활력을 불어넣는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했다고 밝혔다.

이를 증명하듯 2017년 선정된 영천동 도시재생사업에서는 칙칙폭폭 999’, 2018년 화산동 도시재생사업에서는 화담(和談)’, 2019년엔 관광지역경제도시재생을 아우른 어번케어센터가 각각 기존 낙후한 지역 환경을 확 끌어올리며 지역 내 활력을 키우는 공간이 되었다.

반면 아직 제천시가 그리고 있는 도시재생 축은 절반의 완성에 그쳐있다이는 축 중간에서 핵심 연결망(브릿지역할을 할 의림동청전동지역 공모사업에 따라 축의 완성여부가 갈리기 때문이다.

예술의 전당자연치유특구의림지 특화 등을 연결할 수 있는 도시재생 축의 완성은 2023년 신규 공모사업에 달려있다때문에 올해가 도시재생 원년임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가온다사활을 걸겠다는 제천시의 의지이자 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는 혁신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까지 도시재생 사업은 총 6개 사업을 완료하거나 추진하고 있다원도심을 씨앗으로어번케어란 을 피웠다면앞으로 제천시 도시재생 사업은 날개를 달고 비상하려는 2기 도시재생을 꿈꾸고 있다며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응원과 협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도시재생 공모사업은 9월경 확정된다시는 의림동 지역에는 문화 중심지를청전동지역에는 주민의 생활환경과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향후 신규사업이 선정이 되면 제천시는 역세권서부동화산동 화담도심(의림청전남현신백)으로 이어지는 재생 축을 완성도 있게 그려낼 것으로 기대한다.